가을
유행성출혈열
유행성출혈열은 한타바이러스 등에 의해 전파되는 전염병으로 들쥐나 집쥐에 있는 바이러스가 사람의 호흡기를 통해서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, 비교적 강우량이 적은 건조기에 군인, 캠핑, 등산, 낚시를 즐기는 사람 등 주로 야외 생활자에게 많이 발병합니다.
- 원인균 : 인플루엔자 바이러스(주로 A형,B형)
- 감염경로
- 환자의 재채기, 호흡할 때 콧물이나 인두 분비물로 오염된 물품으로 전염
- 학교, 선박, 대중용 버스 등 인구밀도가 높은 곳에서 공기 전염
- 증상 : 급성호흡기 전염병으로 갑작스런 발열(35~50도), 오한, 두통, 근육통 및 전신쇠약
- 예방수칙
- 유행되기 전 예방접종을 맞습니다.(유행시는 예방접종보다 개인위생이 중요)
- 감기예방법과 같이 개인위생수칙을 준수하고 유행시기에는 가능한 사람이 많이 모여 있 는 곳은 피합시다.
- 환자는 가능한 한 집에서 쉬고 건강한 사람에게 전파되지 않도록 합시다.
쯔쯔가무시증
- 주요증상
-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 발생하며, 혈액과 림프액을 통해 전신적 혈관염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 발열성 질환
- 심한 두통, 발열, 오한, 구토, 발진, 근육통, 기침 등 감기와 유사
- 진드기 물린 부위에 가피 형성이 특징적
- 감염경로
-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털진드기 유충에 사람이 물려 감염
- 사람 간 전파 없음
- 잠복기
- 1~3주(평균 9~18일)
- 예방요령
- 긴팔, 긴바지, 모자 등을 착용하여 피부 노출 최소화하기
- 풀밭 위에는 돗자리 펴서 앉기
- 작업 및 야외활동 후 옷은 반드시 세탁하고, 샤워나 목욕하기
- 외출 후 머리카락, 귀 주변, 팔 아래, 허리, 무릎 뒤, 다리 사이 등에 진드기 가 붙어있지 않은지 꼼꼼히 확인하기
- 작업 및 야외활동 시 기피제 사용하기(일부 도움이 될 수 있음)
신증후군출혈열(유행성 출혈열)
- 전파경로 : 간염된 설치류(등줄쥐, 집쥐)의 소변,대변, 타액등으로 분비 되는 바이러스를 흡입하여 감염됨
- 잠복기간 : 1∼3주(치사율 2~7%)
- 유 행 기 : 5∼6월, 10∼12월
- 예 방 법
- 예방접종: 한달간격으로 2회 접종 후 12개월 뒤에 1회 접종
- 유행 지역의 산이나 풀밭에 가는 것을 피할 것
- 들쥐의 배설물에 접촉을 피할 것
- 잔디위에 침구나 옷을 말리지 말 것
- 야외활동후 귀가시에는 옷에 묻은 먼지를 털고 목욕을 함 - 가능한 한 피부의 노출을 적게 할 것
렙토스피라증
- 감 염 원 : 감염된 동물(쥐)의 소변으로 오염된 물이나 흙
- 잠복기간 : 2∼14일(평균 5~7일)
- 전파경로 : 감염된 동물의 소변에 오염된 젖은 풀, 흙, 물 등과 접촉 할 때 점막이나 상처난 피부를 통해 감염
- 발생시기 : 추수기 전후(7∼11월)
- 예 방 법
- 작업시에는 손발 등에 상처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반드시 장화, 장갑 등 보호구 착용할것
- 가능한 한 농경지의 고인 물에는 손발을 담그거나 닿지 않도록 주의할 것
- 가급적 논의 물을 빼고 마른 뒤에 벼베기 작업을 할 것
- 들쥐, 집쥐 등 감염우려 동물을 없애도록 노력할 것
SFTS(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)
- 주요증상
- 주로 4~11월에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참진드기(주로 작은소피참 진드기)에 물린 후 고열(38~40℃), 소화기증상(오심, 구토, 설사, 식욕 부진) 등을 나타내는 감염병
- 혈소판·백혈구 감소에 따른 출혈성 소인(혈뇨, 혈변 등)이 발생하고, 다 발성장기부전 및 사망에 이르기도 함
- 피로감, 근육통, 말 어눌·경련·의식저하와 같은 신경학적 증상 동반함
- 감염경로
- 주로 SFTS 바이러스에 감염된 진드기(참진드기)에 물려서 감염됨
- 사람 간 전파가 보고되었으며, 환자 혈액 및 체액에 대한 직접적 노출에 따른 전파 가능성이 존재함
- 잠복기
- 평균 4~15일
- 예방요령
- 작업 및 야외활동 시에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※ 야외활동 후 2주 이내 고열(38~40℃), 소화기증상(오심, 구토, 설사, 식욕부진) 등이 있을 경우 즉시 의료기관 방문하여 진료받기
라임병
- 주요증상
- 참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감염병
- 미국에서 매년 2만 건 이상 발생하며, 국내 발생은 적은 편임
- 과녁모양의 반점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고 발열, 오한, 근육통, 발진 등의 증상을 나타냄
- 감염경로
- 감염된 참진드기가 사람을 물어 전파
- 잠복기
- 3~30일
- 예방요령
- 작업 및 야외활동 시에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
- 정보 담당자 :
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?
QR CODE 이미지를 스마트폰에
인식시키면 자동으로
이 페이지로 연결됩니다.